본문 바로가기

뉴스5

헌재 6차 변론 증인신문 요약 2025-02-06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 증인신문김현태 "곽종근이 '국회의원 150명 넘으면 안 돼' 취지 메시지 전달" 김현태 "의원 끌어내라는 지시 못받아" 김현태 "곽종근이 테이저건·공포탄 사용 관련 묻기에 '제한된다' 답" 김현태 "케이블타이 문 봉쇄 용도, 사람 대상 아니었다" 김현태 "국회 창문 깬 것 시민 충돌 피하기 위한 것" 김현태 "尹·국방장관이 '부대원 철수' 지시했단 얘기 못 들어" 김현태 "尹 계엄 발표 후 계엄법 따른 정상적 출동이라 인식" 김현태 "곽종근, 0시 50분 통화 때 전기차단 언급" 김현태 "곽종근, 국회 단전 방법 지시…통화 기록 있어" 김현태 "尹 계엄 발표 후 계엄법 따른 정상적 출동이라 인식" 김현태 "계엄 때 부대원들 무력 의지.. 2025. 2. 6.
2025.2.6. 대통령 변호인단 입장문 [2025.2.6. 대통령 변호인단 입장문] 김현태의 증언으로 군의 출동이 국회 기능 마비와 무관함이 밝혀졌다. 김현태 특전사 707특임단장은 증인 신문에서 비상게엄 당시의 상황에 대해 자신이 겪은 사실을 상세히 증언하였다. 김현태는, 대통령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 사실을 알았다고 하였으며, 국회를 봉쇄하라는 임무를 부여 받았다고 증언하였다. 그런데 이 봉쇄라는 개념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주요 시설을 확보한 후 보호하고 질서 유지를 위한 방어라는 개념이며, 권한 있는 사람의 출입을 허용하는 것이다. 즉, 국회의원의 출입을 막는 목적이 아니다. 김현태는 이를 명확히 증언하였다. 이는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국회에서 답변한 것과 같은 취지이다. 김현태는 국회의사당 정문이 막혀서 창문을 깨고 15명이 본관에.. 2025. 2. 6.
USAID 범죄조직으로 규명, 폐쇄 돌입 ! 어제 USAID 트윗에 이어 오늘도 워딩이 매우 강력하네요. 일론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 "USAID는 범죄 조직, 이젠 죽어야 할 때"라며 직설적으로 언급했고 외신들 또한 USAID(미국국제개발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동의 아래 DOGE(정부효율부) 수장 일론 머스크의 주도로 폐쇄 수순에 돌입했다고 전했습니다. 2025.02.03 - [뉴스] - 일론머스크 트윗 USAID 언급, A-WEB 과는 어떤 관계? 일론머스크 트윗 USAID 언급, A-WEB 과는 어떤 관계?오늘 오전 일론 머스크가 X(구 트위터)를 통해 USAID가 중국 우한 연구소에 코로나 바이러스 개발자금 지원 했다고 게시글을 등록했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2025. 2. 4.
일론머스크 트윗 USAID 언급, A-WEB 과는 어떤 관계? 오늘 오전 일론 머스크가 X(구 트위터)를 통해 USAID가 중국 우한 연구소에 코로나 바이러스 개발자금 지원 했다고 게시글을 등록했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는 1961년 설치된 미국의 비군사적 해외원조를 행하는 정부조직입니다. 대통령에게 직속된 연방 기관이었지만, 1998년 이후에는 국무부의 감독을 받으며 미국의 외교정책을 반영하고 있는 기관이지만 해당 기관은 한국의 A-WEB을 지원하는 기관이기도 합니다. 선거연수원 코드네임99 작전을 통해 중국 해커들이 실제로 체포 되었다면 선관위와 A-WEB은 중국 공산당 하부 기관으로 특정되어버리는 상황에서 해당 USAID와 A-WEB의 유착관계가 있었는지도 .. 2025. 2. 3.
어린 북한 청년들이 왜 공산주의를 위해 죽어야합니까?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북한 공산당은 정말 같은 인간이 맞습니까?  20살 밖에 되지 않는 어린 청년이 전쟁하러 오는지도 모르고 저렇게 끌려와서 옆에서 동료들 죽어나가는거보고 며칠을 방공호 속에 숨어있었습니다.  태어나서 지금까지 살면서 자유라는게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다 좋은가요?' 라는 말이 정말 그 순수한 20살이 할법한 말이라 더 가슴이 아픕니다.  우리는 저 안타까운 청년들을 통해 북한 정권의 본질을 똑바로 마주해야합니다. 같은 세상에 사는 누구에게는 꿈을 꾸고 미래를 계획해야 할 시간에 저들은 총을 들고나와 누구와, 왜 싸워야하는지도 모르고 죽어나가고있습니다.  그 안타까운 어린 청년들의 죽음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누구를 위해 죽나요? 무엇을 지키기 위해.. 2025. 1. 13.